사료 고르는 법

1. 기본적인 영양 이해하기


어떤 동물이든 사람이든 신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물,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비타민, 무기질이 필요합니다. 이를 6대 영양소로 얘기 합니다.

물을 제외한 5대 영양소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단백질입니다. 왜냐하면 동물의 신체에서 수분 70%를 제거하고 남은 30% 정도는 단백질이기 때문입니다.

근육, 피모, 인대 및 장기관은 물론이고 뼈 역시 콜라겐이라는 단백질이 주성분이라고 하니 단백질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단백질은 곡물과 육류에서 모두 발견 됩니다. 곡물에서는 옥수수 눈과 밀, 콩과 같이 씨앗이나 활발하게 자라는 잎에서 주로 발견 됩니다.

곡물에 포함되어 있는 식물성 단백질을 사람을 포함한 동물들이 소화흡수하기 위해서는 장이 길어야 합니다. 하지만 개는 사람에 비해 장이 짧기 때문에 잘 흡수하지 못합니다. 즉, 두부 같은 콩 단백질을 다량 함유한 음식은 장이 다소 긴 사람에게는 매우 좋은 단백질원 이지만 장이 짧은 개에게는 그렇지 않다는 것입니다.


사료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식물성 단백질은 콩류, 옥수수, 밀, 쌀 글루텐 밀(corn, wheat, rice gluten meal)입니다.

글루텐은 곡물에서 전분을 추출하고 남은 부분입니다. 이러한 곡물단백질은 소화흡수를 배려한 영양적인 측면 보다는

조단백질 수치를 맞추는데 주목적으로 이용됩니다.


반면 우리의 반려동물에게 소화흡수가 용이한 동물성 단백질은 동물체내 전체에서 발견됩니다.

내장이나 인대부분 보다는 근육부분이 훨씬 더 소화 흡수가 용이합니다.

단백질은 특히 성장기 반려동물의 뼈대 성장과 성체의 근육 형성 및 코트에 기여하는 바가 매우 큰 영양소 입니다.


결론적으로 단백질 함유 % 수치보다는 그 수치 속에 동물성 단백질이 몇 % 인가가 더 중요 합니다. 이것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사료 포장지의 조단백질 %만 보지 말고 전체 재료(ingredients)를 면밀히 잘 검토해 보셔야 합니다.

강아지 영양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2. 소화 흡수율이 높은 사료


소화흡수율이 높은 사료는 그만큼 좋은 원료를 사용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변 양이 적습니다.

모든 사료는 컵 당 칼로리와 밀도가 모두 다릅니다. 칼로리와 밀도가 높은 사료는 시간이 지날수록 적게 먹습니다.

이 때 보호자는 먹는 양이 적어지므로 걱정하게 됩니다. 그러나 보호자는 먹는 양보다 반려동물의 체중과 건강 상태를 주시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반려동물들은 영양이 충분하면 같은 음식은 더 이상 과식하지 않는 특성이 있습니다.


칼로리가 높은 사료와 칼로리가 낮은 사료를 같은 양으로 급여하면 당연히 컵 당 칼로리가 높은 사료가 변 양이 많습니다.

장은 들어온 영양분이 부족하면 장에 머무르는 시간을 길게 해 흡수율을 최고로 높입니다. 그러나 넘친다고 판단되면 대충 흡수하고 밖으로 내 보냅니다.

그러므로 각 사료의 권장 급여표를 기준으로 변 양을 평가해야 합니다. 좋은 사료를 먹은 개의 좋은 변은 적당히 수분기가 있으며 냄새가 없을수록 좋습니다.

특별한 약품을 첨가하거나 회분 수치를 높여 인위적으로 수분이 없는 딱딱하게 조정한 변은 개의 소화기관의 건강을 해칩니다.

3. 재료 이해하기


포장지에 뒷면의 재료 패널에 기재된 원료들(ingrediedts)은 사료에 대한 거의 모든 중요한 정보를 알려줍니다.

지금부터라도 꼭 읽어보세요!

 

1) 원료들은 무게에 따라 많이 들어가 있는 것 순서대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가장 많은 무게가 들어있는 재료가 첫 번째부터 순서대로 표시 됩니다. 몇몇 사료 제조사들은 원료가 좋아보이도록 조작을 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재료로 '생고기(real meat, chicken, turkey 등)'라고 표기하여 생고기가 많이 들어갔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생고기에는 수분이 70% 정도 차지하며, 수분은 건사료 제조 과정에서 대부분 버려집니다. 실제로는 고기 함량이 적다는 뜻입니다.


2) 구체적인 표현일수록 더 좋은 원료입니다. 

예를 들면 닭고기보단 뼈를 제거한 닭고기, 계란보단 계란 흰자와 노른자가 있습니다.


3) meal이 나쁜 재료라고 생각하지 마세요.

닭고기는 수분을 70% 함유했지만 닭고기 분말은 수분이 10%인 고급 재료입니다.

안락사나 로드킬 당한 동물을 포함하는 재료는 애니멀 밀(animal meal)일 수 있습니다.

건사료는 대부분 수분이 10% 입니다. 수분이 70%인 닭고기 100kg을 재료로 사용하면 만드는 과정에서 수분 70kg은 없어지게 됩니다.

반면 닭고기 분말은 수분이 10%이므로 만드는 과정에서 수분으로 손실되는 것은 없어 동물 단백질 함량이 높아집니다.


4) 화학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는 사료가 좋습니다.

(BHT, BHA, 글리세린, 소르빈산, 아질산염, 에톡시퀸 등)

사람 식품의 경우 화학 방부제의 허용량이 법으로 엄격하게 정해져 있지만 반려동물 식품에 대한 허용 기준이 없습니다.


미생물은 수분이 12% 이상일 때 활성화 됩니다. 보통 건사료는 수분이 10~12% 미만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료 회사들은 천연방부제를 사용합니다.

화학방부제를 사용하는 소수의 회사의 제품들은 매우 오염도(부패도)가 높은 원료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지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5) 옥수수(corn), 밀(wheat), 콩류를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개와 고양이들의 몸에 받지 않은 곡물 1순위는 바로 밀입니다. 또 옥수수가 피부 질환의 1순위 문제점입니다.

그 결과로 나타나는 붉은 발진과 건성  질환, 비듬, 탈모가 그 대표적 질환입니다.

그 질환이 나타나면 반려동물은 간지러움 때문에 붉은 발진으로 긁고, 입으로 핥고 뜯게 됨으로써 상처를 만들게 됩니다.

완두나 렌틸 콩 같은 콩류는 단백질을 많이 포함하지만 개와 고양이들은 사람과는 다른 장 구조를 가지고 있기에

콩류의 식물성 단백질은 반려동물에게 유익하지 않습니다.


6) animal fat, poultry fat 같은 저가 지방을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animal/poultry fat - 동물성/조류지방은 상업적 가공과정인 정제나 추출 과정에서 포유류나 가금류의 조직으로부터 얻어진 값싼 부산물입니다.

어느 동물에서 추출된 원료인지는 알 수 없습니다.


7) poultry by product meal, animal meal 같은 저가 육류 저가 원료를 포함하지 않아야 합니다.

* poultry by product meal, animal meal-가금류 부산물 가루 또는 동물가루는 목, 부리, 부화하지 않은 알 그리고 창자와 같은 도살된 가금류의 부산물 입니다.

이것은 여러 장기가 사용되고 상황에 따라 그 비율이 계속 달라집니다. 그 결과로 사료의 품질 또한 변화할 수 있습니다.


8)사료에 타우린이 함유되어 있으면 더 좋습니다.

타우린은 70년대에 고양이가 타우린 결핍으로 시력을 잃거나 죽기 시작하자 고양이 사료에 첨가되기 시작했습니다.

개는 카르니틴을 타우린으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개에게 타우린은 필수 아미노산이 아닌 것으로 생각 되었습니다.

하지만 팽창 심근증과 타우린 결핍 사이에 연관성이 있음이 최근 발견 되었습니다. 그래서 몇 개의 개 사료 업체가 제품에 타우린을 첨가하기 시작했고

이것은 좋은 아이디어 였습니다. 고기가 많은 제품에는 천연 타우린이 더 많음에도 불구하고, 타우린은 열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가공된 개 사료에는

대개 천연 타우린이 충분하지 않습니다.



사료 고르는 법










1. 기본적인 영양 이해하기

어떤 동물이든 사람이든 신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물,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비타민, 무기질이 필요합니다.

이를 6대 영양소로 얘기 합니다.

물을 제외한 5대 영양소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단백질입니다.

왜냐하면 동물의 신체에서 수분 70%를 제거하고

남은 30% 정도는 단백질이기 때문입니다.

근육, 피모, 인대 및 장기관은 물론이고

뼈 역시 콜라겐이라는 단백질이 주성분이라고 하니

단백질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단백질은 곡물과 육류에서 모두 발견 됩니다. 

곡물에서는 옥수수 눈과 밀, 콩과 같이 씨앗이나

활발하게 자라는 잎에서 주로 발견 됩니다.

곡물에 포함되어 있는 식물성 단백질을 사람을 포함한

동물들이 소화흡수하기 위해서는 장이 길어야 합니다.

하지만 개는 사람에 비해 장이 짧기 때문에 잘 흡수하지 못합니다.

즉, 두부 같은 콩 단백질을 다량 함유한 음식은

장이 다소 긴 사람에게는 매우 좋은 단백질원 이지만

장이 짧은 개에게는 그렇지 않다는 것입니다.


사료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식물성 단백질은 콩류, 옥수수, 밀,

쌀 글루텐 밀(corn, wheat, rice gluten meal)입니다.

글루텐은 곡물에서 전분을 추출하고 남은 부분입니다.

이러한 곡물단백질은 소화흡수를 배려한 영양적인 측면 보다는

조단백질 수치를 맞추는데 주목적으로 이용됩니다.


반면 우리의 반려동물에게 소화흡수가 용이한

동물성 단백질은 동물체내 전체에서 발견됩니다.

내장이나 인대부분 보다는 근육부분이

훨씬 더 소화 흡수가 용이합니다.

단백질은 특히 성장기 반려동물의 뼈대 성장과 성체의

근육 형성 및 코트에 기여하는 바가 매우 큰 영양소 입니다.


결론적으로 단백질 함유 % 수치보다는 그 수치 속에

동물성 단백질이 몇 % 인가가 더 중요 합니다.

이것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사료 포장지의 조단백질 %만 보지 말고

전체 재료(ingredients)를 면밀히 잘 검토해 보셔야 합니다.



강아지 영양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2. 소화 흡수율이 높은 사료


소화흡수율이 높은 사료는 그만큼 좋은 원료를

사용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변 양이 적습니다.

모든 사료는 컵 당 칼로리와 밀도가 모두 다릅니다.

칼로리와 밀도가 높은 사료는 시간이 지날수록 적게 먹습니다.

이 때 보호자는 먹는 양이 적어지므로 걱정하게 됩니다.

그러나 보호자는 먹는 양보다 반려동물의 체중과

건강 상태를 주시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반려동물들은 영양이 충분하면 같은 음식은

더 이상 과식하지 않는 특성이 있습니다.


칼로리가 높은 사료와 칼로리가 낮은 사료를 같은 양으로

급여하면 당연히 컵 당 칼로리가 높은 사료가 변 양이 많습니다.

장은 들어온 영양분이 부족하면 장에 머무르는 시간을

길게 해 흡수율을 최고로 높입니다.

그러나 넘친다고 판단되면 대충 흡수하고 밖으로 내 보냅니다.

그러므로 각 사료의 권장 급여표를 기준으로 

변 양을 평가해야 합니다.

좋은 사료를 먹은 개의 좋은 변은 적당히 수분기가 있으며

냄새가 없을수록 좋습니다.

특별한 약품을 첨가하거나 회분 수치를 높여 인위적으로

수분이 없는 딱딱하게 조정한 변은

개의 소화기관의 건강을 해칩니다.


3. 재료 이해하기

포장지에 뒷면의 재료 패널에 기재된 원료들(ingrediedts)은

사료에 대한 거의 모든 중요한 정보를 알려줍니다.

지금부터라도 꼭 읽어보세요!

 

1) 원료들은 무게에 따라 많이 들어가 있는 것

순서대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가장 많은 무게가 들어있는 재료가

첫 번째부터 순서대로 표시 됩니다.

몇몇 사료 제조사들은 원료가 좋아보이도록

조작을 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재료로 '생고기(real meat, chicken, turkey

등)'라고 표기하여 생고기가 많이 들어갔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생고기에는 수분이 70% 정도 차지하며,

수분은 건사료 제조 과정에서 대부분 버려집니다.

실제로는 고기 함량이 적다는 뜻입니다.


2) 구체적인 표현일수록 더 좋은 원료입니다. 

예를 들면 닭고기보단 뼈를 제거한 닭고기, 계란보단

계란 흰자와 노른자가 있습니다.


3) meal이 나쁜 재료라고 생각하지 마세요.

닭고기는 수분을 70% 함유했지만 닭고기 분말은

수분이 10%인 고급 재료입니다.

안락사나 로드킬 당한 동물을 포함하는 재료는

애니멀 밀(animal meal)일 수 있습니다.

건사료는 대부분 수분이 10% 입니다.

수분이 70%인 닭고기 100kg을 재료로 사용하면

만드는 과정에서 수분 70kg은 없어지게 됩니다.

반면 닭고기 분말은 수분이 10%이므로 만드는 과정에서

수분으로 손실되는 것은 없어 동물 단백질 함량이 높아집니다.


4) 화학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는 사료가 좋습니다.

(BHT, BHA, 글리세린, 소르빈산, 아질산염, 에톡시퀸 등)

사람 식품의 경우 화학 방부제의 허용량이 법으로 엄격하게

정해져 있지만 반려동물 식품에 대한 허용 기준이 없습니다.


미생물은 수분이 12% 이상일 때 활성화 됩니다. 보통 건사료는

수분이 10~12% 미만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료 회사들은

천연방부제를 사용합니다.

화학방부제를 사용하는 소수의 회사의 제품들은

매우 오염도(부패도)가 높은 원료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지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5) 옥수수(corn), 밀(wheat), 콩류를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개와 고양이들의 몸에 받지 않은 곡물 1순위는 바로 밀입니다.

또 옥수수가 피부 질환의 1순위 문제점입니다.

그 결과로 나타나는 붉은 발진과 건성  질환, 비듬, 탈모가

그 대표적 질환입니다.

그 질환이 나타나면 반려동물은 간지러움 때문에 붉은 발진으로

긁고, 입으로 핥고 뜯게 됨으로써 상처를 만들게 됩니다.

완두나 렌틸 콩 같은 콩류는 단백질을 많이 포함하지만

개와 고양이들은 사람과는 다른 장 구조를 가지고 있기에

콩류의 식물성 단백질은 반려동물에게 유익하지 않습니다.


6) animal fat, poultry fat 같은 저가 지방을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animal/poultry fat - 동물성/조류지방은 상업적 가공과정인

정제나 추출 과정에서 포유류나 가금류의 조직으로부터

얻어진 값싼 부산물입니다.

어느 동물에서 추출된 원료인지는 알 수 없습니다.


7) poultry by product meal, animal meal 같은

    저가 육류 저가 원료를 포함하지 않아야 합니다.

* poultry by product meal, animal meal-가금류 부산물

가루 또는 동물가루는 목, 부리, 부화하지 않은 알 그리고

창자와 같은 도살된 가금류의 부산물 입니다.

이것은 여러 장기가 사용되고

상황에 따라 그 비율이 계속 달라집니다.

그 결과로 사료의 품질 또한 변화할 수 있습니다.


8)사료에 타우린이 함유되어 있으면 더 좋습니다.

타우린은 70년대에 고양이가 타우린 결핍으로 시력을 잃거나

죽기 시작하자 고양이 사료에 첨가되기 시작했습니다.

개는 카르니틴을 타우린으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개에게 타우린은 필수 아미노산이 아닌 것으로 생각되었습니다.

하지만 팽창 심근증과 타우린 결핍 사이에 연관성이 있음이

최근 발견 되었습니다.

그래서 몇 개의 개 사료 업체가 제품에 타우린을 첨가하기

시작했고 이것은 좋은 아이디어 였습니다.

고기가 많은 제품에는 천연 타우린이 더 많음에도 불구하고,

타우린은 열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가공된 개 사료에는

대개 천연 타우린이 충분하지 않습니다.